-
CDN(Content Delivery Network)이란 무엇인가?IT Info 2022. 6. 13. 09:59
CDN(Content Delivery Network)이란?
전 세계 사용자에게 웹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서버의 분산 네트워크이다.
CDN (https://www.akamai.com/ko/our-thinking/cdn/what-is-a-cdn) CDN은 최종 사용자와 가까운 POP(Point-Of-Presence : 네트워크 상호 간 접근점) 위치의 서버에 캐시 된 콘텐츠를 저장하여 대기 시간을 최소화한다.
콘텐츠는
- 웹 요소 (텍스트, 그래픽, 스크립트)
- 다운로드 가능한 요소 (미디어 파일, 소프트웨어, 문서)
- 애플리케이션 (전자상거래, 포털)
- 실시간 미디어
- 주문형 스트리밍
- 소셜 네트워크
등이 있다.
동작 방식
- 사용자가 도메인 이름이 있는 URL을 사용하여 파일을 요청
- DNS는 가장 성능이 좋은 POP 위치로 요청을 라우팅(일반적으로 가장 가까운 POP)
- POP 서버의 캐시에 파일이 없으면 POP는 원본 서버에 파일을 요청
- 원본 서버는 파일을 POP 서버에 응답
- POP 서버는 파일을 캐싱하고 사용자에게 파일을 응답
파일은 HTTP 헤더로 지정된 TTL(Time-To-Live)이 만료될 때까지 POP 서버에 캐시 된 상태로 유지
(원본 서버가 TTL을 지정하지 않은 경우, 기본 7일) - 다른 사용자가 요청할 경우 파일의 TTL이 만료되지 않았다면 POP의 캐시된 파일을 응답
-> 이 경우 CDN의 장점이 극대화
CDN의 장정
성능
CDN 서버에 캐싱되어 있는 경우 콘텐츠를 로드하기 위해 장거리에 있는 원본 서버에 요청하는 대신 CDN 서버에서 응답해줌
(e.g. 로딩 시간 : 즉시 VS 7초)가용성 (트래픽 양 감소 & 병목 현상 해결)
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콘텐츠에 접속(병목 현상)하거나 인터넷에서 서버 장애가 발생해 과도한 사용자 트래픽이 발생하는 동안에도 사용자가 콘텐츠에 계속 접속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.
콘텐츠 제공자가 감당하여야 하는 콘텐츠 관련 트래픽을 CDN의 광범위하게 분산되 서버에서 트래픽을 대신 처리한다.
보안
CDN은 대규모 분산 서버 장비로 공격 트래픽을 완화할 수 있으므로 컨텐츠 제공자에게 DDoS(Distributed Denial of Service) 공격에 대해서 어느 정도 보호해 줄 수 있다.
또한 CDN 서버에서 다양한 웹 기반 공격에 대해 컨텐츠 제공자를 보호해 줄 수 있다.
참조
반응형